스레드 용어 뜻 스하리 스니 관련 은어, 속어, 표현 총정리 :: 꽁지식 주요 소식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레드 용어 뜻 스하리 스니 관련 은어, 속어, 표현 총정리
    카테고리 없음 2025. 8. 10. 17:34
    반응형

     

    스레드(Threads) 사용자들의 은어와 속어 완전 정리
    2023년 메타에서 출시한 텍스트 중심 SNS 스레드(Threads)가 한국에서 독특한 커뮤니티 문화를 형성하며, 매일 새로운 은어와 줄임말들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스레드에 입문했지만 "이게 무슨 뜻이지?" 하며 당황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이 글이 완벽한 가이드가 될 것입니다.

    스레드 명칭 참고: 한국어 공식 명칭은 '스레드'이지만, 한국 유저들은 '쓰레드'라는 이름도 함께 사용하고 있어 '스'와 '쓰'를 앞에 붙인 다양한 용어들이 만들어졌습니다.

     

     

     

     

    🔥 핵심 필수 용어 (높은 사용 빈도)
    스하리 - 스레드의 대표 용어
    스하리는 스레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핵심 용어입니다.

    정의: '스레드 팔로우(Follow) + 하트(Like) + 리포스트(Repost)'의 줄임말

    구성 요소:
    : 팔로우 (계정 구독)
    : 하트 (좋아요 표시)
    : 리포스트 (게시물 재공유)

    사용 예시:
    • "스하리 완료!"
    • "스하리 하고 갑니다"
    • "이 글 스하리 각이네요"
    • "반하리 해드렸어요!"
    스하리 관련 변형 용어들
    스하: 팔로우 + 하트만 한 상태
    스하완: 스하리를 완전히 마친 상태
    반하리: 누군가가 스하리를 해주면 답례로 똑같이 해주는 행위
    맞하리/맞스하리: 반하리와 같은 의미로, 상호 스하리를 의미
    또하리: 한 번 더 스하리를 해주는 행위
    스하리충: 게시글 내용을 읽지 않고 팔로우만 늘리기 위해 무분별하게 스하리를 하는 사람에 대한 멸칭
    👥 사용자 및 관계 관련 용어
    팔로우 관련
    스팔/쓰팔: 스레드에서 팔로우한 사람 또는 서로 팔로우한 관계
    스팔완: 스레드 팔로우 완료
    스팔놈/쓰팔놈: 스레드 팔로우 관계를 친근하게 표현하는 말
    스팔취/쓰팔취: 스레드 팔로우를 취소하는 행위
    스친: 스레드 친구 (스레드에서 친해진 사람)
    인사 관련
    스하: 스레드에서 인사할 때 사용하는 줄임말 ("스하! 오늘도 좋은 하루!")
    스바: 작별 인사를 할 때 사용 ("스바! 내일 봐요")
    사용자 레벨 표현
    스린이: '스레드 + 어린이'의 합성어로 스레드 초보자를 뜻함
    쓰린이: 스린이의 '쓰' 버전
    쓰인물: 쓰레드에 빠르게 적응한 사람으로 특정 분야의 고인물을 의미
    스인싸: 스레드에서 인기 있는 사람 (스레드 + 인싸)
    호칭 관련
    스니: 스레드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을 부르는 애칭 ("안녕하세요, 스니 여러분!")
    치니: 스레드에서 자주 소통하며 친해진 사용자를 뜻함
    쓰님: 스레드 사용자들을 높여 부르는 존칭
    📝 콘텐츠 및 활동 관련 용어
    콘텐츠 정리 및 요약
    스요: '스레드 요약'의 줄임말, 긴 글의 핵심 내용 요약 요청
    스저: '스레드 저장'의 줄임말, 나중에 다시 볼 만한 유용한 게시물
    스레드 상태 및 감정 표현
    스태기: '스레드 + 슬럼프'의 합성어, 스레드 활동에 대한 동기 저하 상태
    쓰레빠: 해당 앱에 빠져든다는 표현
    쓰며들다: 어떻게 하는거지 동공이 흔들리면서 배우다 보니까 어느새 적응한 상태
    특별한 활동 용어
    쓰담쓰담: 스레드에 쓸 짤을 담는다는 뜻
    쓰플루언서: Threads + 인플루언서의 합성어
    플랫폼 제재 관련 (나무위키 정보 추가)
    댓밴: 댓글/답글이 차단되는 기능. 너무 많이 활동했거나 누적된 신고로 댓글 자체가 막힘
    좋밴: 좋아요가 차단되는 기능
    🛠️ 기능 관련 용어
    기본 기능
    리포스트(리포): 게시물을 자신의 스레드에 공유하는 기능으로, 블로그의 스크랩 기능과 유사
    답글: 특정 게시물에 대한 댓글
    인용: 다른 게시물을 인용하며 자신의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
    콘텐츠 특성
    스레드 연결: 여러 게시물을 연속으로 이어서 작성하는 방식
    텍스트 중심: 사진보다 글 내용에 중점을 둔 소통 방식
    🎭 커뮤니티 문화 관련 용어
    소통 문화
    스레드는 반말 문화가 주류를 이루며, 친근하고 편안한 소통을 추구합니다.
    커뮤니티 특성
    높은 자영업자 비율: 전반적으로 이용자 연령대가 높은 편이며, 특히 자영업자들의 비중이 높습니다.
    인스타그램과의 차별화: 텍스트 기반이라는 점에서 유저들은 인스타그램에서의 가식을 벗어던지고 좀 더 편하게 이용하는 분위기
    🌐 영어권 참고 용어
    참고로 스레드 thread는 실, 실을 꿰다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영어권에서는 유저들을 재단사라는 의미의 'tailor'라고 칭하고 있기도 합니다.
    ⚠️ 주의사항 및 올바른 사용법
    건전한 스레드 문화 만들기
    1. 의미 있는 스하리: 게시글 내용을 읽지 않고 무분별한 스하리는 지양
    2. 진정한 소통 추구: 단순 팔로우 수 늘리기보다 의미 있는 교류
    3. 커뮤니티 규칙 준수: 플랫폼 가이드라인에 따른 건전한 활동
    용어 사용 시 참고사항
    일부 줄임말 용어들은 스레드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스레드를 외부에서 바라보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단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자연스러운 소통을 위해서는 실제 커뮤니티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레드 용어의 미래
    스레드는 빠르게 성장하는 플랫폼으로, 새로운 용어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 문화의 변화에 따라 용어의 의미나 사용 빈도도 계속 변화할 수 있으니, 실제 사용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스레드의 다양한 은어와 속어들을 이해하면 더욱 재미있고 의미 있는 소통이 가능합니다. 특히 '스하리'로 대표되는 상호작용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한다면, 건전하고 활발한 스레드 커뮤니티의 일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새로운 SNS 플랫폼에서 만나는 독특한 언어 문화를 즐기면서, 동시에 건전한 온라인 소통 문화를 함께 만들어 나가시기 바랍니다!
    본 가이드는 2025년 8월 기준 실제 사용되는 스레드 용어들을 정리한 것으로
    커뮤니티 문화 변화에 따라 새로운 용어들이 계속 등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
카카오톡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