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생계비지원 취약계층 저소득층 혜택 알아보기 :: 꽁지식 주요 소식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긴급생계비지원 취약계층 저소득층 혜택 알아보기
    카테고리 없음 2025. 8. 12. 12:27
    반응형
    2025년 생활위기 지원제도 완벽 가이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가정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 지원제도 총정리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이나 생계 곤란 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움을 받으세요

     



     

     

    🆘 국가 긴급복지지원제도
    📋 지원 대상 및 위기사유
    • 주소득자 위기: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 수용으로 인한 소득 상실
    • 질병·부상: 중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경제적 곤란
    • 가정 내 위기: 가정폭력, 방임, 유기, 학대 상황
    • 재해: 화재, 자연재해로 인한 거주 불가능
    • 경제적 위기: 실직, 폐업, 휴업으로 인한 소득 감소
    💰 2025년 소득·재산 기준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75% 이하
    • 1인 가구: 월 1,794,010원
    • 2인 가구: 월 2,949,494원
    • 3인 가구: 월 3,769,015원
    • 4인 가구: 월 4,573,330원
    🏠 재산 기준 (주거용재산 공제 후)
    • 대도시: 24,100만원 이하
    • 중소도시: 15,200만원 이하
    • 농어촌: 13,000만원 이하
    🎯 지원 내용 및 금액
    생계지원: 최대 6회 지원
    • 1인 가구: 730,500원
    • 4인 가구: 1,872,700원

    의료지원: 1회 최대 300만원 (비급여 포함)
    주거지원: 임시거소 비용, 최대 12회 지원
    기타 지원: 복지시설 이용비, 교육비, 동절기 연료비 등
    💳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 지원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32% 이하인 가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로 대상 확대)
    💰 2025년 선정 기준 (기준중위소득 32%)
    • 1인 가구: 765,444원
    • 4인 가구: 1,951,287원
    🔥 2025년 제도 개선사항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연소득 1억원 → 1억3천만원
    •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1600cc·200만원 → 2000cc·500만원
    •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75세 이상 → 65세 이상
    🏛️ 지자체 한시적 생활지원금
    👥 지원 대상
    실직자, 자영업 폐업자, 저소득층 등 경제적 어려움 직면 가구
    💰 지원 규모
    지역별로 가구당 50만원~200만원 수준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 지원 대상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및 에너지 비용 부담이 큰 취약계층
    💰 지원 내용
    연간 10만원~15만원 범위 내 전기·가스·연탄 등 에너지 비용
    🏥 재난적 의료비 지원
    👥 지원 대상
    질병이나 사고로 고액 의료비 부담이 발생한 저소득층
    💰 지원 규모
    최대 3,000만원까지 의료비 부담 완화
    🏠 서울시 희망온돌 위기긴급기금
    🏠 임차보증금 지원사업
    대상: 서울시 거주,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주거위기가구
    지원 내용: 가구당 최대 600만원 긴급 주거비 지원
    👥 취약계층 위기가구 지원
    대상: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위기가구
    지원 내용:
    • 생계비·기타: 가구당 최대 100만원
    • 의료비: 1인당 최대 100만원, 가구당 최대 300만원
    재산 기준: 4억 900만원 이하, 금융재산 1,000만원 이하
    📞 신청 방법
    동 주민센터, 구청, 지역복지관 등 희망온돌 거점기관 방문 또는 전화 신청
    문의: 서울시 다산콜센터 120, 서울시복지재단 02-6353-0303
    📝 신청 시 유의사항
    📋 공통 필요서류
    • 신분증
    •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 소득·재산 관련 증빙서류
    • 위기상황 증빙서류
    🚫 지원 제한사항
    • 동일한 위기사유로 생계지원 받은 경우 1년 경과 후 재신청 가능
    • 다른 위기사유인 경우 6개월 경과 후 재신청 가능
    • 다른 법률에 따른 동일 내용 지원 받는 경우 제외
    ⚡ 신속 지원 원칙
    위기상황 확인 후 48시간 이내 선지원 실시 (사후조사 및 적정성 심사)
    위기상황 발생 시 즉시 가까운 주민센터나 관련 기관에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조건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다른 지원 방안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정보는 변경될 수 있음으로
    꼭, 관련 페이지를 확인하세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
카카오톡 공유